홈
> 앙굿따라 니까야1~4모음 > āpattibhaya
4. seyyāsuttaṃ (AN 4.246-잠 경)
5. āpattibhayavaggo, 4. seyyāsuttaṃ (AN 4.246-잠 경)
246. “catasso imā, bhikkhave, seyyā. katamā catasso? petaseyyā, kāmabhogiseyyā, sīhaseyyā, tathāgataseyyā. katamā ca, bhikkhave, petaseyyā? yebhuyyena, bhikkhave, petā uttānā senti; ayaṃ vuccati, bhikkhave, petaseyyā.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잠이 있다. 어떤 네 가지인가 아귀의 잠, 소유하고자 하는 자의 잠, 사자의 잠, 여래의 잠이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아귀의 잠인가? 비구들이여, 대부분의 아귀는 등을 대고 누워서 잔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아귀의 잠이라고 불린다.
“katamā ca, bhikkhave, kāmabhogiseyyā? yebhuyyena, bhikkhave, kāmabhogī vāmena passena senti; ayaṃ vuccati, bhikkhave, kāmabhogiseyyā.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소유하고자 하는 자의 잠인가? 비구들이여, 대부분의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왼쪽으로 누워서 잔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소유하고자 하는 자의 잠이라고 불린다.
“katamā ca, bhikkhave, sīhaseyyā? sīho, bhikkhave, migarājā dakkhiṇena passena seyyaṃ kappeti, pāde pādaṃ accādhāya, antarasatthimhi naṅguṭṭhaṃ anupakkhipitvā. so paṭibujjhitvā purimaṃ kāyaṃ abbhunnāmetvā pacchimaṃ kāyaṃ anuviloketi. sace, bhikkhave, sīho migarājā kiñci passati kāyassa vikkhittaṃ vā visaṭaṃ vā, tena, bhikkhave, sīho migarājā anattamano hoti. sace pana, bhikkhave, sīho migarājā na kiñci passati kāyassa vikkhittaṃ vā visaṭaṃ vā, tena, bhikkhave, sīho migarājā attamano hoti. ayaṃ vuccati, bhikkhave, sīhaseyyā.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사자의 잠인가? 비구들이여, 짐승의 왕 사자는 발에 발을 포개고, 넓적다리 안으로 꼬리를 넣고, 오른쪽으로 눕는다. 그는 잠에서 깨면 먼저 몸의 앞부분을 구부려서 몸의 뒷부분을 살펴본다. 만약, 비구들이여, 짐승의 왕 사자가 무엇이든 몸이 엉망이거나 흩어진 것을 보면, 비구들이여, 그로 인해 짐승의 왕 사자는 즐거워하지 않는다. 만약, 비구들이여, 짐승의 왕 사자가 무엇이든 몸이 엉망이거나 흩어진 것을 보지 못하면, 비구들이여, 그로 인해 짐승의 왕 사자는 즐거워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사자의 잠이라고 불린다.
“katamā ca, bhikkhave, tathāgataseyyā? idha, bhikkhave, tathāgato vivicceva kāmehi ... pe ...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ayaṃ vuccati, bhikkhave, tathāgataseyyā. imā kho, bhikkhave, catasso seyyā”ti. catutthaṃ.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여래의 잠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여래는 소유의 삶에서 벗어나고 … 제사선(第四禪)을 성취하여 머문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여래의 잠이라고 불린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네 가지 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