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1~4모음 > abhiññā
9. araññasuttaṃ (AN 4.262-숲 경)
6. abhiññāvaggo, 9. araññasuttaṃ (AN 4.262-숲 경)
262. “catū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nālaṃ araññavanappatthāni pantāni senāsanāni paṭisevituṃ. katamehi catūhi? kāmavitakkena, byāpādavitakkena, vihiṃsāvitakkena, duppañño hoti jaḷo elamūgo — imehi kho, bhikkhave, catū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nālaṃ araññavanappatthāni pantāni senāsanāni paṭisevituṃ.
비구들이여, 네 가지 법을 갖춘 비구가 깊은 숲속 외딴 거처를 수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 어떤 네 가지인가? 소유의 위딱까, 분노의 위딱까, 폭력의 위딱까 그리고 지혜가 없고 어리석어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함 ―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법을 갖춘 비구가 깊은 숲속 외딴 거처를 수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
“catū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alaṃ araññavanappatthāni pantāni senāsanāni paṭisevituṃ. katamehi catūhi? nekkhammavitakkena, abyāpādavitakkena, avihiṃsāvitakkena, paññavā hoti ajaḷo anelamūgo — imehi kho, bhikkhave, catū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alaṃ araññavanappatthāni pantāni senāsanāni paṭisevitun”ti. navamaṃ.
비구들이여, 네 가지 법을 갖춘 비구가 깊은 숲속 외딴 거처를 수용하는 것은 옳다. 어떤 네 가지인가? 출리의 위딱까, 분노하지 않음의 위딱까, 비폭력의 위딱까 그리고 지혜가 있고 어리석지 않아 들을 수 있고 말할 수 있음 ―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법을 갖춘 비구가 깊은 숲속 외딴 거처를 수용하는 것은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