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bala
10. catutthahitasuttaṃ (AN 5.20-이익 경4)
2. balavaggo, 10. catutthahitasuttaṃ (AN 5.20-이익 경4)
20. “pañca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attahitāya ca paṭipanno hoti parahitāya ca. katamehi pañcahi? idha, bhikkhave, bhikkhu attanā ca sīlasampanno hoti, parañca sīlasampadāya samādapeti; attanā ca samādhisampanno hoti, parañca samādhisampadāya samādapeti, attanā ca paññāsampanno hoti, parañca paññāsampadāya samādapeti; attanā ca vimuttisampanno hoti, parañca vimuttisampadāya samādapeti; attanā ca vimuttiñāṇadassanasampanno hoti, parañca vimuttiñāṇadassanasampadāya samādapeti. imehi kho, bhikkhave, pañca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attahitāya ca paṭipanno hoti parahitāya cā”ti. dasamaṃ.
비구들이여,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도 실천하고, 남의 이익을 위하여도 실천하는 다섯 가지 법을 갖춘 비구가 있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자신도 계(戒)를 갖추면서, 남에게도 계를 갖추도록 부추긴다. 자신도 삼매[정(定)]를 갖추면서, 남에게도 삼매를 갖추도록 부추긴다. 자신도 지혜[혜(慧)]를 갖추면서, 남에게도 지혜를 갖추도록 부추긴다. 자신도 해탈(解脫)을 갖추면서, 남에게도 해탈을 갖추도록 부추긴다. 자신도 해탈지견(解脫知見)을 갖추면서, 남에게도 해탈지견을 갖추도록 부추긴다. 비구들이여,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도 실천하고, 남의 이익을 위하여도 실천하는 이런 다섯 가지 법을 갖춘 비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