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pañcaṅgika
7. samādhisuttaṃ (AN 5.27-삼매 경)
3. pañcaṅgikavaggo, 7. samādhisuttaṃ (AN 5.27-삼매 경)
27. “samādhiṃ, bhikkhave, bhāvetha appamāṇaṃ nipakā patissatā. samādhiṃ, bhikkhave, bhāvayataṃ appamāṇaṃ nipakānaṃ patissatānaṃ pañca ñāṇāni paccattaññeva uppajjanti. katamāni pañca? ‘ayaṃ samādhi paccuppannasukho ceva āyatiñca sukhavipāko’ti paccattaññeva ñāṇaṃ uppajjati, ‘ayaṃ samādhi ariyo nirāmiso’ti paccattaññeva ñāṇaṃ uppajjati, ‘ayaṃ samādhi akāpurisasevito’ti paccattaññeva ñāṇaṃ uppajjati, ‘ayaṃ samādhi santo paṇīto paṭippassaddhaladdho ekodibhāvādhigato, na saṅkhāraniggayhavāritagato’ti paccattaññeva ñāṇaṃ uppajjati, ‘sato kho panāhaṃ imaṃ samāpajjāmi sato vuṭṭhahāmī’ti paccattaññeva ñāṇaṃ uppajjati.
비구들이여, 신중함과 빈틈없는 사띠를 가져서 무량한 삼매를 닦아라. 신중함과 빈틈없는 사띠를 가져서 무량한 삼매를 닦는 자에게 개별적으로 다섯 가지 앎이 생긴다. 어떤 다섯인가? ‘이 삼매는 현재의 즐거움과 미래의 즐거운 보(報)가 있다.’라는 개별적인 앎이 생긴다. ‘이 삼매는 성스럽고 개발된 것이다.’라는 개별적인 앎이 생긴다. ‘이 삼매는 훌륭한 사람이 실천하는 것이다.’라는 개별적인 앎이 생긴다. ‘이 삼매는 평화롭고 뛰어나고 진정을 얻고 단일한 상태에 도달한 삼매이지 행에 의해 제한되고 장애가 있는 삼매가 아니다.’라는 개별적인 앎이 생긴다. ‘나는 사띠하면서 이 삼매를 증득하고 사띠하면서 나온다.’라는 개별적인 앎이 생긴다.
“samādhiṃ, bhikkhave, bhāvetha appamāṇaṃ nipakā patissatā. samādhiṃ, bhikkhave, bhāvayataṃ appamāṇaṃ nipakānaṃ patissatānaṃ imāni pañca ñāṇāni paccattaññeva uppajjantī”ti. sattamaṃ.
비구들이여, 신중함과 빈틈없는 사띠를 가져서 무량한 삼매를 닦아라. 신중함과 빈틈없는 사띠를 가져서 무량한 삼매를 닦는 자에게 개별적으로 이런 다섯 가지 앎이 생긴다.
Comments
보인
2023.06.14 17:4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