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āghāta
1. paṭhamāaghātapaṭivinayasuttaṃ (AN 5.161-노여움의 제거 경1)
2. āghātavaggo, 1. paṭhamāaghātapaṭivinayasuttaṃ (AN 5.161-노여움의 제거 경1)
161. “pañcime, bhikkhave, āghātapaṭivinayā yattha bhikkhuno uppanno āghāto sabbaso paṭivinetabbo. katame pañca? yasmiṃ, bhikkhave, puggale āghāto jāyetha, mettā tasmiṃ puggale bhāvetabbā; evaṃ tasmiṃ puggale āghāto paṭivinetabbo. yasmiṃ, bhikkhave, puggale āghāto jāyetha, karuṇā tasmiṃ puggale bhāvetabbā; evaṃ tasmiṃ puggale āghāto paṭivinetabbo. yasmiṃ, bhikkhave, puggale āghāto jāyetha, upekkhā tasmiṃ puggale bhāvetabbā; evaṃ tasmiṃ puggale āghāto paṭivinetabbo. yasmiṃ, bhikkhave, puggale āghāto jāyetha, asatiamanasikāro tasmiṃ puggale āpajjitabbo; evaṃ tasmiṃ puggale āghāto paṭivinetabbo. yasmiṃ, bhikkhave, puggale āghāto jāyetha, kammassakatā tasmiṃ puggale adhiṭṭhātabbā — ‘kammassako ayamāyasmā kammadāyādo kammayoni kammabandhu kammappaṭisaraṇo, yaṃ kammaṃ karissati kalyāṇaṃ vā pāpakaṃ vā tassa dāyādo bhavissatī’ti; evaṃ tasmiṃ puggale āghāto paṭivinetabbo. ime kho, bhikkhave, pañca āghātapaṭivinayā, yattha bhikkhuno uppanno āghāto sabbaso paṭivinetabbo”ti. paṭhamaṃ.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노여움의 제거가 있다. 어떤 경우에든 비구에게 일어난 노여움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어떤 다섯인가?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에 대해 노여움이 생긴다면 그 사람에 대해 자애[자(慈)]를 닦아야 한다. 이렇게 그 사람에 대해 노여움을 제거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에 대해 노여움이 생긴다면 그 사람에 대해 연민[비(悲)]을 닦아야 한다. 이렇게 그 사람에 대해 노여움을 제거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에 대해 노여움이 생긴다면 그 사람에 대해 평정[사(捨)]을 닦아야 한다. 이렇게 그 사람에 대해 노여움을 제거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에 대해 노여움이 생긴다면 그 사람에 대해 사띠하지 않고 작의(作意)하지 않아야 한다[관심(chanda)의 배제]. 이렇게 그 사람에 대해 노여움을 제거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에 대해 노여움이 생긴다면 그 사람에 대해 업(業)이 자신(identity)이라고 결정해야 한다. ㅡ ‘이 존자는 자신의 업(業)이고, 업을 잇고, 업이 근원이고, 업을 다루고, 업의 도움을 받는다. 그는 선(善)하거나 악(惡)한 업을 짓고 그것을 이을 것이다.’라고. 이렇게 그 사람에 대해 노여움을 제거해야 한다.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노여움의 제거가 있다. 어떤 경우에든 비구에게 일어난 노여움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Comments
보인
2020.10.10 22:53
감사합니다.
대원행
2022.04.26 22:53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2_10&wr_id=3 참조 [위딱까의 대응-니밋따-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