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arañña
1. āraññikasuttaṃ (AN 5.181-숲에 사는 자 경)
4. araññavaggo, 1. āraññikasuttaṃ (AN 5.181-숲에 사는 자 경)
181. “pañcime, bhikkhave, āraññikā. katame pañca? mandattā momūhattā āraññiko hoti, pāpiccho icchāpakato āraññiko hoti, ummādā cittakkhepā āraññiko hoti, vaṇṇitaṃ buddhehi buddhasāvakehīti āraññiko hoti, appicchataṃyeva nissāya santuṭṭhiṃyeva nissāya sallekhaṃyeva nissāya pavivekaṃyeva nissāya idamatthitaṃyeva nissāya āraññiko hoti. ime kho, bhikkhave, pañca āraññikā. imesaṃ kho, bhikkhave, pañcannaṃ āraññikānaṃ yvāyaṃ āraññiko appicchataṃyeva nissāya santuṭṭhiṃyeva nissāya sallekhaṃyeva nissāya pavivekaṃyeva nissāya idamatthitaṃyeva nissāya āraññiko hoti, ayaṃ imesaṃ pañcannaṃ āraññikānaṃ aggo ca seṭṭho ca mokkho ca uttamo ca pavaro ca.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숲에 사는 자가 있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어리석고 바보 같아서 숲에 산다. 악한 원함을 가지고 악한 원함의 영향을 받아 숲에 산다. 미치고 심(心)이 혼미하여 숲에 산다. ‘부처님과 부처님의 제자들에 의해서 칭찬받는다’라며 숲에 산다. 원하는 바가 적음에 의지하고, 만족에 의지하고, 벗어나는 삶에 의지하고, 여읨에 의지하고, 여기에서의 사실에 의지하여 숲에 산다.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숲에 사는 자가 있다.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숲에 사는 자 가운데 원하는 바가 적음에 의지하고, 만족에 의지하고, 벗어나는 삶에 의지하고, 여읨에 의지하고, 여기에서의 사실에 의지하여 숲에 사는 자가 으뜸이고 뛰어나고 풀렸고 최상이고 귀하다.
“seyyathāpi, bhikkhave, gavā khīraṃ, khīramhā dadhi, dadhimhā navanītaṃ, navanītamhā sappi, sappimhā sappimaṇḍo, sappimaṇḍo tattha aggamakkhāyati; evamevaṃ kho, bhikkhave, imesaṃ pañcannaṃ āraññikānaṃ yvāyaṃ āraññiko appicchataṃyeva nissāya santuṭṭhiṃyeva nissāya sallekhaṃyeva nissāya pavivekaṃyeva nissāya idamatthitaṃyeva nissāya āraññiko hoti, ayaṃ imesaṃ pañcannaṃ āraññikānaṃ aggo ca seṭṭho ca mokkho ca uttamo ca pavaro cā”ti. paṭhamaṃ.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있고, 응유로부터 생 버터가 있고, 생 버터로부터 정제된 버터가 있고, 정제된 버터로부터 최상의 버터가 있다. 거기서 최상의 버터가 으뜸이라고 불린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숲에 사는 자 가운데 원하는 바가 적음에 의지하고, 만족에 의지하고, 벗어나는 삶에 의지하고, 여읨에 의지하고, 여기에서의 사실에 의지하여 숲에 사는 자가 으뜸이고 뛰어나고 풀렸고 최상이고 귀하다.
Comments
대원행
2024.04.29 20:31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1&wr_id=363 참조 ([소 → 우유 → 응유 → 생 버터 → 정제된 버터 → 최상의 버터]의 용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