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devatā
4. saṅgaṇikārāmasuttaṃ (AN 6.68-교제를 기뻐함 경)
7. devatāvaggo, 4. saṅgaṇikārāmasuttaṃ (AN 6.68-교제를 기뻐함 경)
68. “‘so vata, bhikkhave, bhikkhu saṅgaṇikārāmo saṅgaṇikarato saṅgaṇikārāmataṃ anuyutto, gaṇārāmo gaṇarato gaṇārāmataṃ anuyutto, eko paviveke abhiram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eko paviveke anabhiramanto cittassa nimittaṃ gahe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cittassa nimittaṃ agaṇhanto sammādiṭṭhiṃ paripūre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sammādiṭṭhiṃ aparipūretvā sammāsamādhiṃ paripūre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sammāsamādhiṃ aparipūretvā saṃyojanāni pajah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saṃyojanāni appahāya nibbānaṃ sacchikar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비구들이여, ‘교제를 즐기고, 교제를 좋아하고, 교제의 즐거움에 빠진 비구, 모임을 즐기고, 모임을 좋아하고, 모임의 즐거움에 빠진 비구가 여읨 위에서 홀로 즐길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여읨 위에서 홀로 즐기지 못하는 자가 심(心)의 상(相)을 얻을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심상(心相)을 얻지 못한 자가 바른 견해를 완성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바른 견해를 완성하지 못한 채 바른 삼매를 완성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바른 삼매를 완성하지 못한 채 족쇄들을 버릴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족쇄들을 버리지 못한 채 열반을 실현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so vata, bhikkhave, bhikkhu na saṅgaṇikārāmo na saṅgaṇikarato na saṅgaṇikārāmataṃ anuyutto, na gaṇārāmo na gaṇarato na gaṇārāmataṃ anuyutto, eko paviveke abhiram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eko paviveke abhiramanto cittassa nimittaṃ gahe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cittassa nimittaṃ gaṇhanto sammādiṭṭhiṃ paripūre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sammādiṭṭhiṃ paripūretvā sammāsamādhiṃ paripūre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sammāsamādhiṃ paripūretvā saṃyojanāni pajah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saṃyojanāni pahāya nibbānaṃ sacchikar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ī”ti. catutthaṃ.
비구들이여, ‘교제를 즐기지 않고, 교제를 좋아하지 않고, 교제의 즐거움에 빠지지 않은 비구, 모임을 즐기지 않고, 모임을 좋아하지 않고, 모임의 즐거움에 빠지지 않은 비구가 여읨 위에서 홀로 즐길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여읨 위에서 홀로 즐기는 자가 심(心)의 상(相)을 얻을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심상(心相)을 얻은 자가 바른 견해를 완성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바른 견해를 완성한 뒤에 바른 삼매를 완성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바른 삼매를 완성한 뒤에 족쇄들을 버릴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족쇄들을 버린 뒤에 열반을 실현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Comments
대원행
2023.12.25 21:10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4&wr_id=91 참조 ([마음특강] 삶의 메커니즘(2023) ― 인공지능의 지향점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