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ānisaṃsa
3. aniccasuttaṃ (AN 6.98-무상(無常) 경)
10. ānisaṃsavaggo, 3. aniccasuttaṃ (AN 6.98-무상(無常) 경)
98. “‘so vata, bhikkhave, bhikkhu kañci saṅkhāraṃ niccato samanupassanto anulomikāya khantiyā samannāgato bhav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anulomikāya khantiyā asamannāgato sammattaniyāmaṃ okkam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sammattaniyāmaṃ anokkamamāno sotāpattiphalaṃ vā sakadāgāmiphalaṃ vā anāgāmiphalaṃ vā arahattaṃ vā sacchikarissatī’ti netaṃ ṭhānaṃ vijjati.
참으로, 비구들이여, ‘어떤 것이든 행(行)을 상(常)으로부터 보는 비구가 적절한 제어를 갖출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적절한 제어를 갖추지 못한 자가 올바름에 들어갈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올바름에 들어가지 못한 자가 예류과(預流果)거나, 일래과(一來果)거나, 불환과(不還果)거나, 아라한의 경지를 실현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없다.
“‘so vata, bhikkhave, bhikkhu sabbasaṅkhāre aniccato samanupassanto anulomikāya khantiyā samannāgato bhav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anulomikāya khantiyā samannāgato sammattaniyāmaṃ okkam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i. ‘sammattaniyāmaṃ okkamamāno sotāpattiphalaṃ vā sakadāgāmiphalaṃ vā anāgāmiphalaṃ vā arahattaṃ vā sacchikarissatī’ti ṭhānametaṃ vijjatī”ti. tatiyaṃ.
참으로, 비구들이여, ‘모든 행(行)을 무상(無常)으로부터 보는 비구는 적절한 제어를 갖출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적절한 제어를 갖춘 자는 올바름에 들어갈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 ‘올바름에 들어간 자는 예류과(預流果)거나, 일래과(一來果)거나, 불환과(不還果)거나, 아라한의 경지를 실현할 것이다.’라는 경우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