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ānisaṃsa
11. taṇhāsuttaṃ (AN 6.106-애(愛) 경)
10. ānisaṃsavaggo, 11. taṇhāsuttaṃ (AN 6.106-애(愛) 경)
106. “tisso imā, bhikkhave, taṇhā pahātabbā, tayo ca mānā. katamā tisso taṇhā pahātabbā?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 imā tisso taṇhā pahātabbā. katame tayo mānā pahātabbā? māno, omāno, atimāno — ime tayo mānā pahātabbā. yato kho, bhikkhave, bhikkhuno imā tisso taṇhā pahīnā honti, ime ca tayo mānā;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acchecchi taṇhaṃ, vivattayi saṃyojanaṃ, sammā mānābhisamayā antamakāsi dukkhassā”ti. ekādasamaṃ.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애(愛)와 세 가지 자기화를 버려야 한다. 어떤 세 가지 애(愛)를 버려야 하는가? 욕애(欲愛), 유애(有愛), 무유애(無有愛) ― 이런 세 가지 애(愛)를 버려야 한다. 어떤 세 가지 자기화를 버려야 하는가? 자기화, 열등의 자기화, 우월의 자기화― 이런 세 가지 자기화를 버려야 한다. 비구들이여, 비구에게 이런 세 가지 애(愛)와세 가지 자기화가 버려질 때, 비구들이여, 비구는 애(愛)를 잘랐고, 족쇄를 끊었고, 바른 자기화의 관통을 통해 괴로움을 끝냈다.’라고 불린다.
Comments
대원행
08.01 20:23
https://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2&wr_id=320 참조 ( (특강) 불교는 무엇인가 & ‘괴로움을 끝냈다(antamakāsi dukkhassa)’의 용례
보인
08.14 17:39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