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anusaya
2. dutiyānusayasuttaṃ (AN 7.12-잠재성향 경2)
2. anusayavaggo, 2. dutiyānusayasuttaṃ (AN 7.12-잠재성향 경2)
12. “sattannaṃ, bhikkhave, anusayānaṃ pahānāya samucchedāya brahmacariyaṃ vussati. katamesaṃ sattannaṃ? kāmarāgānusayassa pahānāya samucchedāya brahmacariyaṃ vussati, paṭighānusayassa ... pe ... diṭṭhānusayassa... vicikicchānusayassa... mānānusayassa... bhavarāgānusayassa... avijjānusayassa pahānāya samucchedāya brahmacariyaṃ vussati. imesaṃ kho, bhikkhave, sattannaṃ anusayānaṃ pahānāya samucchedāya brahmacariyaṃ vussati.
비구들이여, 이런 일곱 가지 잠재성향을 버리고 박멸하기 위해 범행(梵行)을 실천한다. 무엇이 일곱인가? 욕탐(慾貪)의 잠재성향을 버리고 박멸하기 위해 범행(梵行)을 실천한다. 저항의 잠재성향 … 견해의 잠재성향 … 의심의 잠재성향 … 자기화의 잠재성향 … 유탐(有貪)의 잠재성향 … 무명(無明)의 잠재성향을 버리고 박멸하기 위해 범행(梵行)을 실천한다. 비구들이여, 이런 일곱 가지 잠재성향을 버리고 박멸하기 위해 범행(梵行)을 실천한다.
“yato ca kho, bhikkhave, bhikkhuno kāmarāgānusayo pahīno hoti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ṃ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paṭighānusayo ... pe ... diṭṭhānusayo... vicikicchānusayo... mānānusayo... bhavarāgānusayo... avijjānusayo pahīno hoti ucchinnamūlo tālāvatthukato anabhāvaṃkato āyatiṃ anuppādadhammo. ayaṃ vuccati, bhikkhave, bhikkhu acchecchi taṇhaṃ, vivattayi saṃyojanaṃ, sammā mānābhisamayā antamakāsi dukkhassā”ti. dutiyaṃ.
비구들이여, 그 실천으로 인해 비구에게 욕탐(慾貪)의 잠재성향은 버려졌고 뿌리 뽑혔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었고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저항의 잠재성향 … 견해의 잠재성향 … 의심의 잠재성향 … 자기화의 잠재성향 … 유탐(有貪)의 잠재성향 … 무명(無明)의 잠재성향은 버려졌고 뿌리 뽑혔고 윗부분이 잘린 야자수처럼 되었고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미래에 생겨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비구는 갈애를 잘랐고, 족쇄를 풀었고, 바른 자기화의 관통으로부터 괴로움의 끝을 만들었다.’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