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vajjisattaka
8. paṭhamaparihānisuttaṃ (AN 7.28-퇴보 경1)
3. vajjisattakavaggo, 8. paṭhamaparihānisuttaṃ (AN 7.28-퇴보 경1)
28. evaṃ me sutaṃ — ekaṃ samayaṃ bhagavā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tatra kho bhagavā bhikkhū āmantesi — “sattime, bhikkhave, dhammā sekhassa bhikkhuno parihānāya saṃvattanti. katame satta? kammārāmatā, bhassārāmatā, niddārāmatā, saṅgaṇikārāmatā, indriyesu aguttadvāratā, bhojane amattaññutā, santi kho pana saṅghe saṅghakaraṇīyāni; tatra sekho bhikkhu iti paṭisañcikkhati — ‘santi kho pana saṅghe therā rattaññū cirapabbajitā bhāravāhino, te tena paññāyissantī’ti attanā tesu yogaṃ āpajjati. ime kho, bhikkhave, satta dhammā sekhassa bhikkhuno parihānāya saṃvattanti.
이렇게 나는 들었다. ― 한때 세존은 사왓티에서 제따와나의 아나타삔디까 사원에 머물렀다. 거기서 세존은 비구들에게 말했다. ― “비구들이여, 이런 일곱 가지 법은 유학(有學)인 비구를 퇴보로 이끈다. 어떤 일곱 가지인가? 일하기를 좋아하고, 말하기를 좋아하고, 잠자기를 좋아하고, 함께 머물기를 좋아하고, 기능들에서 문을 보호하지 않고, 음식의 적당량을 모른다. 그리고 상가에서 상가의 해야 할 일이 있을 때 유학인 비구가 이렇게 숙고한다. ― ‘상가에는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선배이고 출가한 지 오래된 장로 비구들이 있다. 그들이 그것 때문에 나타날 것이다.’라고. 자신이 그것들을 실행한다. 비구들이여, 이런 일곱 가지 법은 유학인 비구를 퇴보로 이끈다.
“sattime, bhikkhave, dhammā sekhassa bhikkhuno aparihānāya saṃvattanti. katame satta? na kammārāmatā, na bhassārāmatā, na niddārāmatā, na saṅgaṇikārāmatā, indriyesu guttadvāratā, bhojane mattaññutā, santi kho pana saṅghe saṅghakaraṇīyāni; tatra sekho bhikkhu iti paṭisañcikkhati — ‘santi kho pana saṅghe therā rattaññū cirapabbajitā bhāravāhino, te tena paññāyissantī’ti attanā na tesu yogaṃ āpajjati. ime kho, bhikkhave, satta dhammā sekhassa bhikkhuno aparihānāya saṃvattantī”ti. aṭṭhamaṃ.
비구들이여, 이런 일곱 가지 법은 유학인 비구를 퇴보하지 않음으로 이끈다. 어떤 일곱 가지인가? 일하기를 좋아하지 않고, 말하기를 좋아하지 않고, 잠자기를 좋아하지 않고, 함께 머물기를 좋아하지 않고, 기능들에서 문을 보호하고, 음식의 적당량을 안다. 그리고 상가에서 상가의 해야 할 일이 있을 때 유학인 비구가 이렇게 숙고한다. ― ‘상가에는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선배이고 출가한 지 오래된 장로 비구들이 있다. 그들이 그것 때문에 나타날 것이다.’라고. 자신이 그것들을 실행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런 일곱 가지 법은 유학인 비구를 퇴보하지 않음으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