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에 의한 태어남] 4. dānavaggo, 6. puññakiriyavatthusuttaṃ (AN 8.36)[공덕행 경]
<행위 경(A8:36)[Punnakiriyavatthusutta]>은 여덟 가지 공덕의 토대에 의한 태어남을 말하는데,
「비구들이여, 세 가지 공덕행의 토대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보시를 통한 공덕행의 토대, 계를 통한 공덕행의 토대, 수행을 통한 공덕행의 토대이다.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의 경우 보시를 통한 공덕행의 토대와 계를 통한 공덕행의 토대는 조금 만들었지만, 수행을 통한 공덕행의 토대를 만들지는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불운한 인간으로 태어난다.」라고 하는데, 이 내용을
1) 보시[조금] - 계[조금] - 수행[×] → 불운한 인간
2) 보시[보통] - 계[보통] - 수행[×] → 운 좋은 인간
3) 보시[굳건] - 계[굳건] - 수행[×] → 사왕천의 천인
4) 보시[굳건] - 계[굳건] - 수행[×] → 삼십삼천의 천인
5) 보시[굳건] - 계[굳건] - 수행[×] → 야마천의 천인
6) 보시[굳건] - 계[굳건] - 수행[×] → 도솔천의 천인
7) 보시[굳건] - 계[굳건] - 수행[×] → 화락천의 천인
8) 보시[굳건] - 계[굳건] - 수행[×] → 타화자재천의 천인
에 순차적으로 반복됩니다.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의 경우 보시를 통한 공덕행의 토대와 계를 통한 공덕행의 토대는 굳건하게 만들었지만, 수행을 통한 공덕행의 토대를 만들지는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타화자재천의 신들의 동료로 태어난다. 비구들이여, 거기서 신의 아들 와사땃띠는 보시를 통한 공덕행의 토대와 계를 통한 공덕행의 토대를 아주 굳건하게 만들어, 열 가지 측면에서 타화자재천의 신들을 능가하나니, 그것은 하늘의 수명, 하늘의 용모, 하늘의 행복, 하늘의 명성, 하늘의 권력, 하늘의 형상, 하늘의 소리, 하늘의 향기, 하늘의 맛, 하늘의 감촉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공덕행의 토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