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satipaṭṭhāna
1. sikkhādubbalyasuttaṃ (AN 9.63-공부의 약함 경)
2. satipaṭṭhānavaggo, 1. sikkhādubbalyasuttaṃ (AN 9.63-공부의 약함 경)
63. “pañcimāni, bhikkhave, sikkhādubbalyāni. katamāni pañca? pāṇātipāto, adinnādānaṃ, kāmesumicchācāro, musāvādo, surāmerayamajjapamādaṭṭhānaṃ — imāni kho, bhikkhave, pañca sikkhādubbalyāni.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공부의 약함이 있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생명을 해치는 행위,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행위, 음행(淫行)에 대한 삿된 행위, 거짓을 말하는 행위,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 ― 이것이,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공부의 약함이다.
“imesaṃ kho, bhikkhave, pañcannaṃ sikkhādubbalyānaṃ pahānāya cattāro satipaṭṭhānā bhāvetabbā. katame cattāro? idha, bhikkhave,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vedanāsu ... pe ... citte ... pe ...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ṃ. imesaṃ kho, bhikkhave, pañcannaṃ sikkhādubbalyānaṃ pahānāya ime cattāro satipaṭṭhānā bhāvetabbā”ti. paṭhamaṃ.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공부의 약함을 버리기 위해서 사념처(四念處)를 닦아야 한다. 어떤 네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신(身)을 이어보면서 신(身)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거한다. 수(受)를 이어보면서 수(受)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거한다. 심(心)을 이어보면서 심(心)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거한다. 법(法)을 이어보면서 법(法)에 머문다. 알아차리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옳음의 유지-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자는 세상에서 간탐(慳貪)과 고뇌(苦惱)를 제거한다.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공부의 약함을 버리기 위해서 이런 사념처(四念處)를 닦아야 한다.
Comments
보인
2023.04.18 17:4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