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iddhipāda
1. sikkhasuttaṃ (AN 9.83-84-91-공부 경)
4. iddhipādavaggo, 1. sikkhasuttaṃ (AN 9.83-84-91-공부 경)
83. “pañcimāni, bhikkhave, sikkhādubbalyāni. katamāni pañca? pāṇātipāto ... pe ... surāmerayamajjapamādaṭṭhānaṃ — imāni kho, bhikkhave, pañca sikkhādubbalyāni.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공부의 약함이 있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생명을 해치는 행위,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행위, 음행(淫行)에 대한 삿된 행위, 거짓을 말하는 행위,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 ― 이것이,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공부의 약함이다.
“imesaṃ kho, bhikkhave, pañcannaṃ sikkhādubbalyānaṃ pahānāya cattāro iddhipādā bhāvetabbā. katame cattāro? idha, bhikkhave, bhikkhu chandasamādhi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aṃ iddhipādaṃ bhāveti, vīriyasamādhi... cittasamādhi... vīmaṃsāsamādhi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aṃ iddhipādaṃ bhāveti. imesaṃ kho, bhikkhave, pañcannaṃ sikkhādubbalyānaṃ pahānāya ime cattāro iddhipādā bhāvetabbā”ti. paṭhamaṃ.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공부의 약함을 버리기 위해 사여의족(四如意足)을 닦아야 한다. 어떤 네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관심의 삼매와 노력의 행(行)을 갖춘 여의족(如意足)을 닦는다. 정진의 삼매 … 심(心)의 삼매 … 관찰의 삼매와 노력의 행(行)을 갖춘 여의족(如意足)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공부의 약함을 버리기 위해 이런 사여의족(四如意足)을 닦아야 한다.
84-91. (yathā satipaṭṭhānavagge tathā iddhipādavasena vitthāretabbā.)
사념처 품처럼 사여의족에 맞춰 펼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