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iddhipāda
10. cetasovinibandhasuttaṃ (AN 9.92-심(心)의 속박 경)
4. iddhipādavaggo, 10. cetasovinibandhasuttaṃ (AN 9.92-심(心)의 속박 경)
92. “pañcime, bhikkhave, cetasovinibandhā. katame pañca? idha, bhikkhave, bhikkhu kāmesu avītarāgo hoti ... pe ... ime kho, bhikkhave, pañca cetasovinibandhā.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심(心)의 속박이 있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소유의 사유에 대한 탐(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관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사랑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갈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열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갈애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비구들이여, 소유의 사유에 대한 탐(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관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사랑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갈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열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갈애에서 벗어나지 못한 그 비구의 심(心)은 노력으로, 실천으로, 지속으로, 정진으로 기울지 않는다. 이렇게 심(心)이 노력으로, 실천으로, 지속으로, 정진으로 기울지 않는 것이 첫 번째 심(心)의 속박이다. …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심(心)의 속박이 있다.
“imesaṃ kho, bhikkhave, pañcannaṃ cetasovinibandhānaṃ pahānāya ime cattāro iddhipādā bhāvetabbā. katame cattāro? idha, bhikkhave, bhikkhu chandasamādhi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aṃ iddhipādaṃ bhāveti, vīriyasamādhi... cittasamādhi... vīmaṃsāsamādhipadhānasaṅkhārasamannāgataṃ iddhipādaṃ bhāveti. imesaṃ kho, bhikkhave, pañcannaṃ cetasovinibandhānaṃ pahānāya ime cattāro iddhipādā bhāvetabbā”ti. dasamaṃ.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심(心)의 속박을 버리기 위하여 이런 사여의족(四如意足)을 닦아야 한다. 어떤 네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관심의 삼매와 노력의 행(行)을 갖춘 여의족(如意足)을 닦는다. 정진의 삼매 … 심(心)의 삼매 … 관찰의 삼매와 노력의 행(行)을 갖춘 여의족(如意足)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심(心)의 속박을 버리기 위해 이런 사여의족(四如意足)을 닦아야 한다.
Comments
보인
2021.02.24 20:5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