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sacitta
7. dutiyasaññāsuttaṃ (AN 10.57-상(想) 경2)
1. sacittavaggo, 7. dutiyasaññāsuttaṃ (AN 10.57-상(想) 경2)
57. “dasayimā, bhikkhave, saññā bhāvitā bahulīkatā mahapphalā honti mahānisaṃsā amatogadhā amatapariyosānā. katamā dasa? aniccasaññā, anattasaññā, maraṇasaññā, āhāre paṭikūlasaññā, sabbaloke anabhiratasaññā, aṭṭhikasaññā, puḷavakasaññā, vinīlakasaññā, vicchiddakasaññā, uddhumātakasaññā — imā kho, bhikkhave, dasa saññā bhāvitā bahulīkatā mahapphalā honti mahānisaṃsā amatogadhā amatapariyosānā”ti. sattamaṃ.
비구들이여, 이런 열 가지 상(想)을 닦고 많이 행할 때 큰 결실이 있고, 큰 이익이 있고, 불사(不死)로 들어가고, 불사를 완성한다. 어떤 아홉 가지인가? 무상(無常)의 상, 무아(無我)의 상, 죽음의 상, 자량(資糧)에 대해 혐오하는 상, 세상의 모든 것에 대해 즐길 것이 없다는 상, 해골이 된 것의 상, 벌레가 버글거리는 것의 상, 검푸른 것의 상, 끊어진 것의 상, 부푼 것의 상이다. 비구들이여, 이런 열 가지 상을 닦고 많이 행할 때 큰 결실이 있고, 큰 이익이 있고, 불사로 들어가고, 불사를 완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