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āmabhogīsuttaṃ (AN 10.91-소유하고자 하는 자 경)
5. upālivaggo, 1. kāmabhogīsuttaṃ (AN 10.91-소유하고자 하는 자 경)
한때 세존은 사왓티에서 제따와나의 아나타삔디까 사원에 머물렀다. 그때 아나타삔디까 장자가 세존에게 왔다. 와서는 세존에게 절한 뒤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아나타삔디까 장자에게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장자여, 세상에는 존재하고 있는 이런 열 가지 소유하고자 하는 자가 있다. 어떤 열 가지인가? 여기,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①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고, 만족시키지 못하고,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
다시, 장자여, 여기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②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지만,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
다시, 장자여, 여기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③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든다.
다시, 장자여, 여기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④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고, 만족시키지 못하고,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
다시, 장자여, 여기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⑤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지만,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
다시, 장자여, 여기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⑥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든다.
다시, 장자여, 여기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⑦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고, 만족시키지 못하고,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
다시, 장자여, 여기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⑧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지만,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
다시, 장자여, 여기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⑨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든다. 그는 욕심내고 얼이 빠지고 묶이고 위험을 보지 못하고 해방을 위한 지혜가 없는 자로서 그 재물을 사용한다.
다시, 장자여, 여기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자는 ⑩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든다. 그는 욕심내지 않고 얼이 빠지지 않고 묶이지 않고 위험을 보고 해방을 위한 지혜가 있는 자로서 그 재물을 사용한다.
거기서, 장자여,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고, 만족시키지 못하고,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고, 만족시키지 못한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라는 이 세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거기서, 장자여,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지만,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고, 한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킨다.’라는 이 한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고, 이런 한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거기서, 장자여,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드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고, 두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킨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나누고, 공덕을 만든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고, 이런 두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거기서, 장자여, 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고, 만족시키지 못하고,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한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법답고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한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고, 만족시키지 못한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라는 이 세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한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이런 세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거기서, 장자여, 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지만,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두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법답고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첫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킨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두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이런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거기서, 장자여, 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답거나 법답지 않음과 폭력이나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드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세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법답고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법답지 않음과 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킨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나누고, 공덕을 만든다.’라는 이 세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세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이런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거기서, 장자여,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고, 만족시키지 못하고,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한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법답고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한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고, 만족시키지 못한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비난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한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이런 두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거기서, 장자여,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두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법답고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킨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나누지 못하고, 공덕을 만들지 못한다.’라는 이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두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이런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거기서, 장자여,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들지만, 욕심내고 얼이 빠지고 묶이고 위험을 보지 못하고 해방을 위한 지혜가 없는 자로서 그 재물을 사용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세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법답고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킨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나누고, 공덕을 만든다.’라는 이 세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욕심내고 얼이 빠지고 묶이고 위험을 보지 못하고 해방을 위한 지혜가 없는 자로서 그 재물을 사용한다.’라는 이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세 가지 이유로 칭찬받고, 이런 한 가지 이유로 비난받는다.
거기서, 장자여,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들고, 욕심내지 않고 얼이 빠지지 않고 묶이지 않고 위험을 보고 해방을 위한 지혜가 있는 자로서 그 재물을 사용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는, 장자여, 네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법답고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다.’라는 이 첫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킨다.’라는 이 두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나누고, 공덕을 만든다.’라는 이 세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욕심내지 않고 얼이 빠지지 않고 묶이지 않고 위험을 보고 해방을 위한 지혜가 있는 자로서 그 재물을 사용한다.’라는 이 네 번째 이유로 칭찬받는다. 장자여, 소유하고자 하는 이 자는 이런 네 가지 이유로 칭찬받는다.
장자여, 세상에는 존재하고 있는 이런 열 가지 소유하고자 하는 자가 있다. 장자여, 이 열 가지 소유하고자 하는 자 가운데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들고, 욕심내지 않고 얼이 빠지지 않고 묶이지 않고 위험을 보고 해방을 위한 지혜가 있는 자로서 그 재물을 사용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가 으뜸이고 뛰어나고 풀렸고 최상이고 귀하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소로부터 우유가 있고, 우유로부터 응유가 있고, 응유로부터 생 버터가 있고, 생 버터로부터 정제된 버터가 있고, 정제된 버터로부터 최상의 버터가 있다. 거기서 최상의 버터가 으뜸이라고 불린다.
이처럼, 장자여, 이 열 가지 소유하고자 하는 자 가운데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하고, 법다움과 비폭력에 의해 재물을 추구한 뒤에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만족시키고, 나누고, 공덕을 만들고, 욕심내지 않고 얼이 빠지지 않고 묶이지 않고 위험을 보고 해방을 위한 지혜가 있는 자로서 그 재물을 사용하는 소유하고자 하는 자가 으뜸이고 뛰어나고 풀렸고 최상이고 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