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여덟 번째 품(sādhuvaggo-칭찬할만함 품)
앙굿따라 니까야 열의 모음 열여덟 번째 품(sādhuvaggo-칭찬할만함 품)
1. sādhusuttaṃ (AN 10.178-칭찬할만함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칭찬할 만한 것과 칭찬할 만하지 않은 것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알겠습니다, 대덕이시여.”라고 그 비구들은 세존에게 대답했다.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ㅡ
비구들이여, 무엇이 칭찬할 만하지 않은 것인가?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 망어(妄語), 양설(兩舌), 악구(惡口), 기어, 간탐(慳貪), 진에(瞋恚),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칭찬할 만하지 않은 것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칭찬할 만한 것인가? 불살생(不殺生), 불투도(不偸盜), 불사음(不邪婬), 불망어(不妄語), 불양설(不兩舌), 불악구(不惡口), 불기어(不綺語),불간탐(不慳貪), 부진에(不瞋恚),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칭찬할 만하지 않은 것이라고 불린다.
2. ariyadhammasuttaṃ (AN 10.179-성스러운 법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성스러운 법과 성스럽지 않은 법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성스럽지 않은 법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성스럽지 않은 법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성스러운 법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법이라고 불린다.
3. kusalasuttaṃ (AN 10.180-유익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유익(有益)과 무익(無益)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무익(無益)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무익(無益)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유익(有益)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유익(有益)이라고 불린다.
4. atthasuttaṃ (AN 10.181-이익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이익과 손해를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손해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손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이익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이익이라고 불린다.
5. dhammasuttaṃ (AN 10.182-법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법(法)과 비법(非法)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비법(非法)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비법(非法)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법(法)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법(法)이라고 불린다.
6. āsavasuttaṃ (AN 10.183-번뇌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번뇌 있는 법(法)과 번뇌 없는 법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번뇌 있는 법(法)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번뇌 있는 법(法)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번뇌 없는 법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번뇌 없는 법이라고 불린다.
7. vajjasuttaṃ (AN 10.184-결점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결점 있는 법(法)과 결점 없는 법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결점 있는 법(法)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결점 있는 법(法)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결점 없는 법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결점 없는 법이라고 불린다.
8. tapanīyasuttaṃ (AN 10.185-가책을 일으킴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가책을 일으키는 법(法)과 가책을 일으키지 않는 법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가책을 일으키는 법(法)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가책을 일으키는 법(法)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가책을 일으키지 않는 법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가책을 일으키지 않는 법이라고 불린다.
9. ācayagāmisuttaṃ (AN 10.186-쌓음으로 이끎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쌓음으로 이끄는 법(法)과 허묾으로 이끄는 법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쌓음으로 이끄는 법(法)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쌓음으로 이끄는 법(法)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허묾으로 이끄는 법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허묾으로 이끄는 법이라고 불린다.
10. dukkhudrayasuttaṃ (AN 10.187-괴로움을 초래함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괴로움을 초래하는 법(法)과 즐거움을 초래하는 법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괴로움을 초래하는 법(法)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괴로움을 초래하는 법(法)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즐거움을 초래하는 법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즐거움을 초래하는 법이라고 불린다.
11. vipākasuttaṃ (AN 10.188-보(報) 경)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보(報)가 괴로움인 법(法)과 보(報)가 즐거움인 법을 설하겠다. 듣고 잘 사고하라.” … 비구들이여, 무엇이 보(報)가 괴로움인 법(法)인가? 살생(殺生) … 사견(邪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보(報)가 괴로움인 법(法)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보(報)가 즐거움인 법인가? 살생을 삼감 … 정견(正見) - 이것이, 비구들이여, 보(報)가 즐거움인 법이라고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