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앙굿따라 니까야5~11모음 > rāgapeyyālaṃ
4. rāgapeyyālaṃ (AN 11.502-512-671-탐(貪)의 반복)
4. rāgapeyyālaṃ (AN 11.502-512-671-탐(貪)의 반복)
502. “rāgassa, bhikkhave, abhiññāya ekādasa dhammā bhāvetabbā. katame ekādasa? paṭhamaṃ jhānaṃ, dutiyaṃ jhānaṃ, tatiyaṃ jhānaṃ, catutthaṃ jhānaṃ, mettācetovimutti, karuṇācetovimutti, muditācetovimutti, upekkhācetovimutti, ākāsānañcāyatanaṃ, viññāṇañcāyatanaṃ, ākiñcaññāyatanaṃ — rāgassa, bhikkhave, abhiññāya ime ekādasa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실다운 지혜를 위해 열한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열하나인가? 초선(初禪), 제이선(第二禪), 제삼선(第三禪), 제사선(第四禪), 자심해탈(慈心解脫), 비심해탈(悲心解脫), 희심해탈(喜心解脫), 사심해탈(捨心解脫), 공무변처(空無邊處), 식무변처(識無邊處), 무소유처(無所有處) ㅡ 비구들이여, 탐(貪)의 실다운 지혜를 위해 이런 열한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503-511. “rāgassa, bhikkhave, pariññāya... parikkhayāya... pahānāya... khayāya... vayāya... virāgāya... nirodhāya... cāgāya... paṭinissaggāya... ime ekādasa dhammā bhāvetabbā.
비구들이여, 탐(貪)의 완전한 지혜를 위해 … 완전한 부서짐을 위해 … 버림을 위해 … 부서짐을 위해 … 사라짐을 위해 … 빛바램을 위해 … 소멸을 위해 … (가라앉음을 위해) 포기를 위해 … 놓음을 위해 이런 열한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512-671. “dosassa ... pe ... mohassa... kodhassa... upanāhassa... makkhassa... paḷāsassa... issāya... macchariyassa... māyāya... sāṭheyyassa... thambhassa... sārambhassa... mānassa... atimānassa... madassa... pamādassa abhiññāya ... pe ... pariññāya... parikkhayāya... pahānāya... khayāya... vayāya... virāgāya... nirodhāya... cāgāya... paṭinissaggāya ime ekādasa dhammā bhāvetabbā”ti.
진(嗔)의 … 치(癡)의 … 성냄의 … 원한의 … 저주의 … 횡포의 … 질투의 … 인색의 … 사기의 … 교활의 … 고집의 … 격분의 … 자기화의 … 오만의 … 허영의 … 방일의 실다운 지혜를 위해 … 완전한 지혜를 위해 … 완전한 부서짐을 위해 … 버림을 위해 … 부서짐을 위해 … 사라짐을 위해 … 빛바램을 위해 … 소멸을 위해 … 포기를 위해 … 놓음을 위해 이런 열한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idamavoca bhagavā. attamanā te bhikkhū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unti.
세존은 이렇게 말했다. 그 비구들은 아주 기뻐서 세존의 말씀에 동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