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이 허물을 벗듯] 1. uragavaggo, 1. uragasuttaṃ (KN 5.1)[뱀 경]
Khuddaka Nikāya, suttanipātapāḷi, 1. uragavaggo,
1. uragasuttaṃ (KN 5.1)[뱀 경]
1. yo uppatitaṃ vineti kodhaṃ, visaṭaṃ sappavisaṃva osadhehi.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퍼진 뱀의 독을 약으로 제거하듯이 솟구친 화를 다스리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2. yo rāgamudacchidā asesaṃ, bhisapupphaṃva saroruhaṃ vigayha.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연 방죽에 들어가 연꽃의 뿌리와 꽃을 꺾듯이 탐(貪)을 남김없이 부순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3. yo taṇhamudacchidā asesaṃ, saritaṃ sīghasaraṃ visosayitvā.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빠른 화살 같은 강을 말려버리듯 갈애를 남김없이 부순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4. yo mānamudabbadhī asesaṃ, naḷasetuṃva sudubbalaṃ mahogho.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큰물이 갈대로 만든 약한 다리를 부수듯이 자기화를 남김없이 부순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5. yo nājjhagamā bhavesu sāraṃ, vicinaṃ pupphamiva udumbaresu.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매혹적인 무화과나무에서 꽃을 볼 수 없듯이 존재에서 참됨을 얻지 않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6. yassantarato na santi kopā, itibhavābhavatañca vītivatto.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이렇게 존재와 비존재를 극복한, 안으로 화가 없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7. yassa vitakkā vidhūpitā, ajjhattaṃ suvikappitā asesā.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안으로 완전하게 잘 다스린, 위딱까들을 부순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8. yo nāccasārī na paccasārī, sabbaṃ accagamā imaṃ papañcaṃ.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이 모든 희론(戱論)을 극복한, 너무 높이 바라지도 않고 너무 낮게 바라지도 않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9. yo nāccasārī na paccasārī, sabbaṃ vitathamidanti ñatvā loke.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세상에 대해 ‘이 모든 것이 진실이 아니다.’라고 알았기 때문에 너무 높이 바라지도 않고 너무 낮게 바라지도 않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10. yo nāccasārī na paccasārī, sabbaṃ vitathamidanti vītalobho.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이 모든 것이 진실이 아니다.’라고 알았기 때문에 탐(貪)을 떠난, 너무 높이 바라지도 않고 너무 낮게 바라지도 않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11. yo nāccasārī na paccasārī, sabbaṃ vitathamidanti vītarāgo.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이 모든 것이 진실이 아니다.’라고 알았기 때문에 탐(貪)을 떠난, 너무 높이 바라지도 않고 너무 낮게 바라지도 않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12. yo nāccasārī na paccasārī, sabbaṃ vitathamidanti vītadoso.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이 모든 것이 진실이 아니다.’라고 알았기 때문에 진(嗔)을 떠난, 너무 높이 바라지도 않고 너무 낮게 바라지도 않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13. yo nāccasārī na paccasārī, sabbaṃ vitathamidanti vītamoho.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이 모든 것이 진실이 아니다.’라고 알았기 때문에 치(癡)를 떠난, 너무 높이 바라지도 않고 너무 낮게 바라지도 않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14. yassānusayā na santi keci, mūlā ca akusalā samūhatāse.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불선(不善)의 뿌리를 뽑아 어떤 잠재성향도 없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15. yassa darathajā na santi keci, oraṃ āgamanāya paccayāse.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이 세상으로 돌아올 조건이 되는 어떤 고뇌의 생김도 없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16. yassa vanathajā na santi keci, vinibandhāya bhavāya hetukappā.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존재에 묶임을 위한 원인이 되는 어떤 갈망의 생김도 없는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
17. yo nīvaraṇe pahāya pañca, anigho tiṇṇakathaṃkatho visallo.
so bhikkhu jahāti orapāraṃ, urago jiṇṇamivattacaṃ purāṇaṃ.
불확실의 끝에 도달해 화살을 뽑아 혼란이 없는, 다섯 가지 장애를 버린
그 비구는 뱀이 오래된 낡은 허물을 벗어버리듯 낮은 삶과 높은 삶을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