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āmasuttaṃ (KN 5.39-소유의 사유 경)
suttanipātapāḷi, 4. aṭṭhakavaggo(여덟의 모음 품), 1. kāmasuttaṃ (KN 5.39-소유의 사유 경)
772. kāmaṃ kāmayamānassa, tassa ce taṃ samijjhati.
addhā pītimano hoti, laddhā macco yadicchati.
만약 소유의 대상을 원하는 자가 그것을 얻으면
사람은 원하는 것을 얻었기 때문에, 그때 기쁜 마음이 있다.
773. tassa ce kāmayānassa, chandajātassa jantuno.
te kāmā parihāyanti, sallaviddhova ruppati.
관심이 생긴 것을 원하는 자에게
만약 그 소유의 대상들이 버려지면, 마치 화살에 꿰뚫린 것처럼 아프다.
774. yo kāme parivajjeti, sappasseva padā siro.
somaṃ visattikaṃ loke, sato samativattati.
뱀의 머리가 발로부터 피해가듯이, 소유의 삶을 피하는 사람
사띠를 가진 그는 이 세상에서 집착을 넘어선다.
775. khettaṃ vatthuṃ hiraññaṃ vā, gavassaṃ dāsaporisaṃ.
thiyo bandhū puthu kāme, yo naro anugijjhati.
밭, 토지, 가공하지 않은 금, 소와 말, 노비와 하인, 여인들과 친척들,
소유의 대상들을 잃은 사람은 화를 낸다.
776. abalā naṃ balīyanti, maddantenaṃ parissayā.
tato naṃ dukkhamanveti, nāvaṃ bhinnamivodakaṃ.
약한 것들이 그 사람을 이기고, 뒤따르는 위험이 그 사람을 이긴다.
파손된 배에 물이 차오르듯이, 그것 때문에 괴로움이 그를 따른다.
777. tasmā jantu sadā sato, kāmāni parivajjaye.
te pahāya tare oghaṃ, nāvaṃ sitvāva pāragūti.
그러므로 사띠를 가진 사람은 언제나 소유의 삶을 피해야 한다.
배에서 물을 퍼낸 뒤에 건너는 것처럼, 그것들을 버린 뒤에 폭류를 건너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