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pupphavaggo (KN 2.4-꽃 품)
4. pupphavaggo (KN 2.4-꽃 품)
44.
ko dhammapadaṃ sudesitaṃ, kusalo pupphamiva pacessati.
누가 이 땅, 신(神)을 포함한 이 죽음의 세상을 이기는가?
능숙한 사람이 꽃을 가려내듯이 누가 잘 설해진 법의 구절을 가려내는가?
45.
sekho dhammapadaṃ sudesitaṃ, kusalo pupphamiva pacessati.
유학(有學)이 이 땅, 신(神)을 포함한 이 죽음의 세상을 이긴다.
능숙한 사람이 꽃을 가려내듯이 유학이 잘 설해진 법의 구절을 가려낸다.
46.
chetvāna mārassa papupphakāni, adassanaṃ maccurājassa gacche.
• (SN 22.95-거품 덩어리 경)
거품의 비유로 이 몸을 알고[색(色)], 신기루의 법을[상(想)] 깨달은 자는
마라가 앞세운 꽃(*)을 꺾고서 죽음의 왕이 보지 못하는 곳으로 갈 것이다.
(*) 잘못 설해진 법의 구절 = 아(我)가 전제된 이론들
47.
suttaṃ gāmaṃ mahoghova, maccu ādāya gacchati.
오직 꽃을 모으는 갈망을 의(意)에 품은 사람을
큰 흐름이 잠든 마을을 휩쓸듯이 죽음이 데리고 간다.
48.
atittaññeva kāmesu, antako kurute vasaṃ.
오직 꽃을 모으는 갈망을 의(意)에 품은 사람에게
소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할 때, 죽음은 영향력을 행사한다.
49.
paleti rasamādāya, evaṃ gāme munī care.
벌이 꽃에서 빛깔과 향기를 해치지 않고 맛만 취한 뒤 떠나는 것처럼
성자는 마을에서 이렇게 돌아다녀야 한다.
50.
attanova avekkheyya, katāni akatāni ca.
남들의 잘못이 아니고, 남들의 행함과 행하지 않음이 아니라
오직 자신의 행함과 행하지 않음을 살펴야 한다.
51.
evaṃ subhāsitā vācā, aphalā hoti akubbato.
빛깔은 좋으나 향기가 없는 아름다운 꽃처럼
이렇게 잘 말해진 것을 말하지만 행하지 않는 자에게 결실은 없다.
52.
evaṃ subhāsitā vācā, saphalā hoti kubbato.
빛깔도 좋고 향기도 좋은 아름다운 꽃처럼
이렇게 잘 말해진 것을 말하고 행하는 자에게 결실은 있다.
53.
evaṃ jātena maccena, kattabbaṃ kusalaṃ bahuṃ.
꽃 무더기에서 많은 꽃다발을 만들 수 있듯이
태어난 사람은 이렇게 유익(有益)을 많이 행해야 한다.
54.
satañca gandho paṭivātameti, sabbā disā sappuriso pavāyati.
• (AN 3.80-향기의 종류 경)의 게송
꽃향기는 바람을 거스르지 못한다. 전단향과 향기로운 관목과 재스민 향기도 못한다.
그러나 평화로운 자의 향기는 바람을 거스른다. 고결한 사람은 모든 방향으로 퍼진다.
55.
etesaṃ gandhajātānaṃ, sīlagandho anuttaro.
전단향과 향기로운 관목이나 청련과 쟈스민
이런 향기의 생겨남 가운데 계(戒)의 향기가 으뜸이다.
56.
yo ca sīlavataṃ gandho, vāti devesu uttamo.
향기로운 관목과 전단향의 향기는 작다.
그러나 계(戒)를 중시하는 자의 향기는 하늘에서도 으뜸의 향기를 풍긴다.
57.
sammadaññā vimuttānaṃ, māro maggaṃ na vindati.
계(戒)를 갖추고, 방일하지 않게 머물고, 바른 무위(無爲)의 앎으로 해탈한 사람들에게
마라는 길을 찾지 못한다.
58.
padumaṃ tattha jāyetha, sucigandhaṃ manoramaṃ.
큰길에 버려진 쓰레기 더미 거기에서도
마음을 기쁘게 하는 깨끗한 향기를 가진 홍련이 피어날 수 있듯이
59.
atirocati paññāya, sammāsambuddhasāvako.
이렇게 쓰레기 같은 존재, 눈먼 존재, 범부 가운데
정등각의 제자는 지혜로써 밝게 빛난다.
pupphavaggo catuttho niṭṭhi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