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구경 강의(220928) ― 4. 꽃 품, 게송(57)[마라가 길을 찾지 못하는 사람 - 계-정-혜 & 계-심-혜 & 무위의…
▣ 법구경 강의(220928) ― 4. 꽃 품, 게송(57)[마라가 길을 찾지 못하는 사람 - 계-정-혜 & 계-심-혜 & 무위의 앎](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ptAMDNpeBU
(게송 53)에서 꽃 무더기와 태어난 사람이 비유로 연결된 이유를 설명하였습니다.
(게송 57)은 해탈한 사람 즉 아라한에게 마라는 길을 찾지 못한다고 하는데, ①계(戒)를 갖춤, ②방일하지 않게 머묾, ③바른 무위(無爲)의 앎의 세 가지로 해탈한 사람을 설명합니다.
이때, 이 세 가지는 계온(戒蘊)-정온(定蘊)-혜온(慧蘊) 삼온(三蘊) 또는 계학(戒學)-심학(心學)-혜학(慧學) 삼학(三學)을 구성한다는 점을 설명하였습니다.
1) 바른 무위(無爲)의 앎
• (S47-36)[무위(無爲)의 앎 - 중생의 영역을 벗어난 다른 앎](부산 수행 170314) 참조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5_09&wr_id=24
• 맛지마 니까야 관통 법회 - 43. 교리문답의 큰 경[혜-식-수-상 특히 혜와 식](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211110)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05_03&wr_id=6
2) 방일하지 않게 머묾[불방일(不放逸)]
• 초기불교(개론-신행지침 220813) ― 수행지도 – 삼매수행의 보충 설명 참조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13&wr_id=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