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arahantavaggo (KN 2.7-아라한 품)
7. arahantavaggo (KN 2.7-아라한 품)
90.
gataddhino visokassa, vippamuttassa sabbadhi.
sabbaganthappahīnassa, pariḷāho na vijjati.
여정을 마친 사람, 슬픔을 떠난 사람, 모든 곳에서 해방된 사람
모든 속박을 부순 사람에게는 열기가 없다.
91.
uyyuñjanti satīmanto, na nikete ramanti te.
haṃsāva pallalaṃ hitvā, okamokaṃ jahanti te.
사띠를 가진 사람들은 집을 떠난다. 그들은 머무는 곳에서 기쁨을 보지 않는다.
백조가 호수를 떠나듯이 그들은 머무는 곳마다 버리고 떠난다.
92.
yesaṃ sannicayo natthi, ye pariññātabhojanā.
suññato animitto ca, vimokkho yesaṃ gocaro.
ākāse va sakuntānaṃ, gati tesaṃ durannayā.
쌓는 것이 없는 어떤 사람들, 음식을 완전히 아는 어떤 사람들
공해탈(空解脫)과 무상해탈(無相解脫)을 영역으로 하는 어떤 사람들
그들의 갈 곳은, 하늘을 나는 새들처럼, 헤아리기 어렵다.
• 영역(gocara) ― ‘(게송 34) 뭍에 던져진 물고기’ 참고
93.
yassāsavā parikkhīṇā, āhāre ca anissito.
suññato animitto ca, vimokkho yassa gocaro.
ākāse va sakuntānaṃ, padaṃ tassa durannayaṃ.
번뇌들이 다하고, 자량에 대해 집착하지 않는 어떤 사람
공해탈(空解脫)과 무상해탈(無相解脫)을 영역으로 하는 어떤 사람
그의 발자국은, 하늘을 나는 새들처럼, 헤아리기 어렵다.
94.
yassindriyāni samathaṅgatāni, assā yathā sārathinā sudantā.
pahīnamānassa anāsavassa, devāpi tassa pihayanti tādino.
마부에게 잘 길든 말처럼 어떤 사람에게 기능이 잘 그친다면
자기화가 버려지고 번뇌가 없는 그를 신들도 부러워한다.
95.
pathavisamo no virujjhati, indakhilupamo tādi subbato.
rahadova apetakaddamo, saṃsārā na bhavanti tādino.
신들의 왕 인다의 깃발에 비유되는 좋은 행위를 하는 땅과 같은 그런 사람은 겨루지 않는다.
진창을 제거한 호수 같은 그런 사람에게 반복되는 태어남은 없다.
96.
santaṃ tassa manaṃ hoti, santā vācā ca kamma ca.
sammadaññā vimuttassa, upasantassa tādino.
바른 무위(無爲)의 앎으로 해탈하고, 안정된 사람
그는 의(意)가 평화롭다. 말과 행위가 평화롭다.
97.
assaddho akataññū ca, sandhicchedo ca yo naro.
hatāvakāso vantāso, sa ve uttamaporiso.
믿음을 넘어선 사람, 만들어짐의 극복을 아는 사람, 속박을 끊은 사람
선(善)과 악(惡)의 원인을 끊은 사람, 모든 바람을 버린 사람, 참으로 그가 가장 위대한 사람이다.
• assaddho → (SN 35.153-방법이 있는가 경) ― ‘믿음과 다른 경우(aññatreva saddhāya)’
• akataññū ― a-kataññū(만들어진 것을 아는 사람=무상(無常)을 아는 사람) → akata-ññū(만들어짐의 극복을 아는 사람)
• hatāvakāsa: one who has cut off every occasion of good and evil. ((hata + avakāsa), adj.)
• vantāsa: one who has given up all wishes, an Arahant
• uttamaporisa: the greatest man. (m.)
98.
gāme vā yadi vāraññe, ninne vā yadi vā thale.
yattha arahanto viharanti, taṃ bhūmirāmaṇeyyakaṃ.
마을이건 숲이건, 낮은 습지건 마른 대지건
어디든지 아라한이 머무는 곳, 그곳이 즐거운 지역이다.
99.
ramaṇīyāni araññāni, yattha na ramatī jano.
vītarāgā ramissanti, na te kāmagavesino.
사람들은 즐거워야 하는 숲들에서 기뻐하지 않는다.
탐(貪)이 없고 소유를 구하지 않는 그들이 기뻐할 것이다.
arahantavaggo sattamo niṭṭhi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