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구경 강의(221014) ― 7. 아라한 품, 게송(90)[아라한은 누구인가](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 법구경 강의(221014) ― 7. 아라한 품, 게송(90)[아라한은 누구인가](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9XcKOFAT9g0
(게송 90)
여정을 마친 사람, 슬픔을 떠난 사람, 모든 곳에서 해방된 사람
모든 속박을 부순 사람에게는 열기가 없다.
• pariḷāho na vijjati 열기가 없다 ― 탐진치(貪瞋癡)의 불[연료]에 의해 타오르는 생(生)-노사(老死)-수비고우뇌(愁悲苦憂惱)의 불꽃은 열기를 발산하는데, 탐진치의 불을 끄면[연료의 소진] 불꽃은 사그라들어 열기를 발산하지 않음 ― (SN 35.28-불탐 경)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4_01&wr_id=12→ 번뇌 다한 아라한의 삶
; 번뇌 다한 아라한은 열기가 없는데, 이런 아라한을 여정을 마친 사람, 슬픔을 떠난 사람, 모든 곳에서 해방된 사람, 모든 속박을 부순 사람의 네 가지 관점으로 설명함
• 여정을 마친 사람(gataddhino) ― 윤회의 여정을 끝냄 = 윤회에서 벗어남
※ 윤회의 여정을 말할 때는 주로 addhunā 또는 addhāna를 사용하는데, 이 게송에서는 gataddhī: one who has completed his journey. (adj.)가 사용되었음.
― addhunā의 용례 ― (SN 15.14-어머니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6_02_04&wr_id=4
― addhāna의 용례 ― (SN 48.64-번뇌의 부서짐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7_05_07&wr_id=1
• 슬픔을 떠난 사람 ― 생(生)-노사(老死) 즉 윤회하는 중생들의 삶에 수반되는 슬픔-비탄-고통-고뇌-절망의 구체적 아픔이 해소된 아라한 → (게송 28-불방일 품) ‘슬픔 없는 사람은 슬픈 사람을 살핀다.’ 참조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10_02_02&wr_id=5
• 모든 곳에서 해방된 사람 ― 번뇌의 영향 아래 있는 욕계(慾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중생들의 삶의 영역 모든 곳에서 벗어나 열반을 실현함
• 모든 속박을 부순 사람 ― 모든 곳에서 해방되기 위해서는 중생의 세상에서 벗어낮 못하게 붙잡는 내면의 모든 문제점을 부숴야 함
※ (DN 33-합송경) “cattāro ganthā — abhijjhā kāyagantho, byāpādo kāyagantho, sīlabbataparāmāso kāyagantho, idaṃsaccābhiniveso kāyagantho.
네 가지 속박 ― 간탐이 몸의 속박이고, 진에가 몸의 속박이고, 계금취가 몸의 속박이고, 이것이 진리라고 고수하는 것이 몸의 속박이다.
; 이렇게 아라한은 번뇌 다함-열기 없음에 네 가지를 더한 여섯 가지로 설명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