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첨】 마하빠자빠띠 고따미 & 비구니 출가의 조건으로 제시된 여덟 가지 존중법[팔경법(八敬法)/팔경계(八敬戒)]
【별첨】 마하빠자빠띠 고따미
마하빠자빠띠 고따미는 부처님의 이모, 계모, 유모, 수유자로서 세존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젖을 주어 부처님을 양육한 사실상의 어머니입니다. 특히, 최초의 비구니로 출가하여 비구니 교단 성립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마하빠자빠띠 고따미 ― (AN 1.235-247)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8_02_04&wr_id=5
“etadaggaṃ, bhikkhave, mama sāvikānaṃ bhikkhunīnaṃ rattaññūnaṃ yadidaṃ mahāpajāpatigotamī”.
비구들이여, 나의 비구니 제자 가운데 오래됨의 측면에서 으뜸은 마하빠자빠띠고따미이다. ― 최초의 비구니 → 비구니 출가의 과정 = (AN 8.51-고따미 경)
• 마하빠자빠띠 고따미의 용례 ― (MN 142-보시 분석 경)/(MN 146-난다까에 대한 가르침 경)/(AN 8.51-고따미 경)/(AN 8.53-간략하게 경)/Vin 1, 4. nissaggiyakaṇḍaṃ, 2. kosiyavaggo, 7. eḷakalomadhovāpanasikkhāpadaṃ/Vin 2, 5. pācittiyakaṇḍaṃ, 3. ovādavaggo, 3. bhikkhunupassayasikkhāpadaṃ/Vin 3, 4. pācittiyakaṇḍaṃ (bhikkhunīvibhaṅgo), 1. lasuṇavaggo, 5. pañcamasikkhāpadaṃ
• (AN 8.51-고따미 경) ― 최초의 비구니인 마하빠자빠띠 고따미의 출가 과정과 비구니 출가의 조건으로 제시된 여덟 가지 존중법[팔경법(八敬法)/팔경계(八敬戒)]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6_06&wr_id=10
; 부처님은 여인의 출가가 교단에 미칠 부정적 영향[정법(正法)의 유지 기간이 줄어듦 : 1,000년 → 500년] 때문에 여인의 출가를 불허하려 하였지만, 여인도 출가하여 공부하면 아라한을 성취할 수 있다는 사실의 측면 때문에, 호수에 미리 제방을 쌓듯이, 여덟 가지 존중법을 조건으로 여인의 출가를 허락함.
; 여덟 가지 존중법[팔경법(八敬法)/팔경계(八敬戒)] ― “이것도 존경하고 존중하고 우러르고 예배한 뒤에 살아있는 한 넘지 않아야 하는 법이다.”
①구족계를 받은 지 100년이 된 비구니가 그날 구족계를 받은 비구에게 절하고 자리에서 일어나 맞이하고 합장하여 경의를 표해야 한다.
②비구니가 비구가 없는 거주처에서 안거를 나서는 안 된다.
③보름마다 비구니는 비구 상가에 포살에 대한 질문과 가르침을 위한 방문의 두 가지 법을 요청해야 한다.
④안거에서 나온 비구니는 양 상가에서 본 것과 들은 것과 의심되는 것의 세 가지 경우에 대해 자자를 행해야 한다.
⑤무거운 법을 범한 비구니는 양 상가에서 보름 동안 참회해야 한다.
⑥두 번의 안거 동안 여섯 가지 법에 대해 공부한 식카마나는 양 상가에서 구족계를 받아야 한다.
⑦어떤 이유로도 비구니는 비구를 비난하고 비방해서는 안 된다.
⑧오늘부터 비구니들이 비구들에 대해 말하는 것은 금지되고, 비구들이 비구니들에 대해 말하는 것은 금지되지 않는다.
• (AN 8.53-간략하게 경) ― 마하빠자빠띠 고따미를 위해 설해진 간략한 가르침 ― 법-율-스승의 가르침이 아닌 것과 법-율-스승의 가르침인 것의 기준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9_06_06&wr_id=11
; 법-율-스승의 가르침이 아닌 것 ― 탐 있음-속박-쌓음-원하는 것이 많음-불만족-어울림-게으름-유지하기 어려움으로 이끎
; 법-율-스승의 가르침인 것 ― 이탐-속박에서 풀려남-해체-원하는 것이 적음-만족-여읨-열심히 정진함-유지하기 쉬움으로 이끎
• (MN 142-보시 분석 경) ☞ http://sutta.kr/bbs/board.php?bo_table=nikaya05_14_12&wr_id=2
; 마하빠자빠띠가 부처님에게 올리는 공양품을 상가에 대한 보시로 이끌면서 상가에 대한 보시가 더욱 훌륭하고 공덕이 크다는 점을 설명함
; 이 과정에서 포교의 공덕에 관해 설명함
; 공덕의 우월을 순차적으로 설명함 ― 사람에 대한 보시 14가지
; 상가를 위해 행하는 일곱 가지 보시
; 네 가지 청정한 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