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brāhmaṇavaggo (KN 2.26-바라문 품)
dhammapadapāḷi, 26. brāhmaṇavaggo (KN 2.26-바라문 품)
383.
chinda sotaṃ parakkamma, kāme panuda brāhmaṇa.
saṅkhārānaṃ khayaṃ ñatvā, akataññūsi brāhmaṇa.
용기를 보여서 흐름을 끊고, 소유의 삶을 떨쳐버려라, 바라문이여.
행(行)들의 부서짐을 알면 만들어짐이 극복된 것을 아는 자가 된다, 바라문이여.
384.
yadā dvayesu dhammesu, pāragū hoti brāhmaṇo.
athassa sabbe saṃyogā, atthaṃ gacchanti jānato.
한 쌍의 법들이 있을 때 바라문은 저편으로 간 자이다.
그리고 아는 자에게 모든 족쇄는 줄어든다.
385.
yassa pāraṃ apāraṃ vā, pārāpāraṃ na vijjati.
vītaddaraṃ visaṃyut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어떤 사람에게 저편이나 이편, 저편과 이편이 없다.
슬픔이 없고 족쇄에서 풀린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고 말한다.
386.
jhāyiṃ virajamāsīnaṃ, katakiccamanāsavaṃ.
uttamatthamanuppat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결점 없이 앉아서 선을 하는, 해야 할 일을 해서 번뇌가 없는 사람
최상의 목적을 성취한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고 말한다.
387.
divā tapati ādicco, rattimābhāti candimā.
sannaddho khattiyo tapati, jhāyī tapati brāhmaṇo.
atha sabbamahorattiṃ, buddho tapati tejasā.
낮에는 태양이 작열하고, 밤에는 달이 비춘다.
끄샤뜨리야는 무장했을 때 빛나고 바라문은 선(禪)을 할 때 빛난다.
그러나 부처는 밤과 낮 언제나 영광으로 빛난다.
388.
bāhitapāpoti brāhmaṇo, samacariyā samaṇoti vuccati.
pabbājayamattano malaṃ, tasmā “pabbajito”ti vuccati.
악을 제거한 자라고 해서 바라문이고, 안정된 행위로 인해 사문이라고 불린다.
자신의 더러움을 씻는 자, 그래서 출가자라고 불린다.
389.
na brāhmaṇassa pahareyya, nāssa muñcetha brāhmaṇo.
dhī brāhmaṇassa hantāraṃ, tato dhī yassa muñcati.
바라문을 해치지 않아야 하고, 바라문은 반발하지 않아야 한다.
바라문을 해치는 자에게, 안돼! 그로 인해 반발하는 자도, 안돼!
390.
na brāhmaṇassetadakiñci seyyo, yadā nisedho manaso piyehi.
yato yato hiṃsamano nivattati, tato tato sammatimeva dukkhaṃ.
의(意)로 사랑하는 것을 제어할 때, 그것이 어떤 것이든 바라문에게 더 낫지 않다.
해치려는 의(意)를 되돌릴 때마다 괴로움이 그친다.
391.
yassa kāyena vācāya, manasā natthi dukkaṭaṃ.
saṃvutaṃ tīhi ṭhānehi,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어떤 사람이 몸과 말과 의(意)로 나쁜 행위를 하지 않는다.
세 가지 경우로 단속하는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고 부른다.
392.
yamhā dhammaṃ vijāneyya, sammāsambuddhadesitaṃ.
sakkaccaṃ taṃ namasseyya, aggihuttaṃva brāhmaṇo.
어떤 사람 덕분에 정등각이 선언한 법을 알 수 있다면
존경하는 마음으로 그를 공경해야 한다. 바라문이 불에 제물을 바치며 공경하듯이.
393.
na jaṭāhi na gottena, na jaccā hoti brāhmaṇo.
yamhi saccañca dhammo ca, so sucī so ca brāhmaṇo.
바라문은 엉킨 머리에 의해서, 혈통에 의해서, 태생에 의해서 되지 않는다.
어떤 사람에게 진리와 법이 있을 때 그가 청정한 사람이고 그가 바라문이다.
394.
kiṃ te jaṭāhi dummedha, kiṃ te ajinasāṭiyā.
abbhantaraṃ te gahanaṃ, bāhiraṃ parimajjasi.
어리석은 자여, 그대에게 엉킨 머리가 무엇이고, 그대에게 가죽옷이 무엇인가!
그대의 안은 복잡하게 얽혀있는데, 그대는 밖을 씻는다.
395.
paṃsukūladharaṃ jantuṃ, kisaṃ dhamanisanthataṃ.
ekaṃ vanasmiṃ jhāyan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분소의(糞掃衣)를 입은 사람, 마르고 정맥이 드러나 보이는 사람
숲에서 홀로 선(禪)을 하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고 부른다.
396.
na cāhaṃ brāhmaṇaṃ brūmi, yonijaṃ mattisambhavaṃ.
bhovādi nāma so hoti, sace hoti sakiñcano.
akiñcanaṃ anādān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나는 자궁에서 생긴 바라문, 태어남에서 만들어진 바라문을 말하지 않는다.
만약 어떤 것이 있다면 그것은 존자(바라문)이라는 이름이다.
아무것도 없고 집착에서 떠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고 부른다.
397.
sabbasaṃyojanaṃ chetvā, yo ve na paritassati.
saṅgātigaṃ visaṃyut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모든 족쇄를 끊고서 동요하지 않는 사람
집착을 넘어서서 풀려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398.
chetvā naddhiṃ varattañca, sandānaṃ sahanukkamaṃ.
ukkhittapalighaṃ buddh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가죽끈, 띠, 사슬, 굴레를 끊고
빗장을 들어 올린 깨달은 자(부처).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399.
akkosaṃ vadhabandhañca, aduṭṭho yo titikkhati.
khantībalaṃ balānīk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비난과 처벌과 구속을 참아내는(용서하는) 밀쳐내지 않는 사람
인내력을 갖춘 군인,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0.
akkodhanaṃ vatavantaṃ, sīlavantaṃ anussadaṃ.
dantaṃ antimasārīr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화내지 않고, 관행을 가진, 계(戒)를 중시하고 건방지지 않은 사람
길들었고, 마지막 몸을 가진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1.
vāri pokkharapatteva, āraggeriva sāsapo.
yo na limpati kāmesu,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연잎의 물처럼, 송곳 끝의 겨자씨처럼
소유의 삶에서 얼룩지지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2.
yo dukkhassa pajānāti, idheva khayamattano.
pannabhāraṃ visaṃyut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여기서 자신에게 괴로움이 부서진 것을 꿰뚫어 아는 사람
짐을 내려놓고 풀려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3.
gambhīrapaññaṃ medhāviṃ, maggāmaggassa kovidaṃ.
uttamatthamanuppat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심오한 지혜를 가진 현명한 사람, 길과 길 아님에 숙달된
최상의 성취에 도달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4.
asaṃsaṭṭhaṃ gahaṭṭhehi, anāgārehi cūbhayaṃ.
anokasārimappicch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재가자와 출가자 둘 모두와 교제하지 않는 사람
집 없이 배회하고 원함이 적은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5.
nidhāya daṇḍaṃ bhūtesu, tasesu thāvaresu ca.
yo na hanti na ghāteti,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두려워하는 자와 강한 자에 대해 몽둥이를 내려놓은 사람.
해치지 않고 죽이지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6.
aviruddhaṃ viruddhesu, attadaṇḍesu nibbutaṃ.
sādānesu anādān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적대적인 사람들 가운데 적대적이지 않고, 자신을 해치는 사람들 가운데서 꺼진 사람
집착하는 사람들 가운데 집착에서 풀려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7.
yassa rāgo ca doso ca, māno makkho ca pātito.
sāsaporiva āraggā,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송곳 끝의 겨자씨처럼, 탐(貪)과 진(嗔)과 자기화와 위선이 소멸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8.
akakkasaṃ viññāpaniṃ, giraṃ saccamudīraye.
yāya nābhisaje kañci,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거칠지 않고 분명하며 진실된 말을 하는 사람
누구에게도 화내는 말을 하지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09.
yodha dīghaṃ va rassaṃ vā, aṇuṃ thūlaṃ subhāsubhaṃ.
loke adinnaṃ nādiyati,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길건 짧건, 작든 크든, 깨끗하든 더럽든
세상에서 주어지지 않은 것을 가지지 않는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0.
āsā yassa na vijjanti, asmiṃ loke paramhi ca.
nirāsāsaṃ visaṃyut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이 세상과 저세상에 갈망들이 없는 사람
갈망하지 않아 갈망에서 풀려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1.
yassālayā na vijjanti, aññāya akathaṃkathī.
amatogadhamanuppat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잡는 성질들이 없고, 무위(無爲)의 앎이 생겨서 의심이 없는 사람
불사(不死)의 실현을 성취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2.
yodha puññañca pāpañca, ubho saṅgamupaccagā.
asokaṃ virajaṃ suddh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이 세상에서 복(福)과 악(惡)의 두 가지 끈끈이를 극복한 사람
슬픔을 넘어서서 때 없고 청정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3.
candaṃva vimalaṃ suddhaṃ, vippasannamanāvilaṃ.
nandībhavaparikkhīṇ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때 없고 청정하고 밝고 깨끗한 달처럼
소망과 존재가 완전히 부서진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4.
yomaṃ palipathaṃ duggaṃ, saṃsāraṃ mohamaccagā.
tiṇṇo pāragato jhāyī, anejo akathaṃkathī.
anupādāya nibbuto,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이 위험한 길과 위험한 곳, 윤회(輪迴)와 치(癡)를 건넌 사람
건너서 저편에 닿은 선(禪)을 닦는 사람, 갈망 없고 의심 없는 사람
집착하지 않아서 꺼진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5.
yodha kāme pahantvāna, anāgāro paribbaje.
kāmabhavaparikkhīṇ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여기서 소유의 삶을 버린 뒤 집 없이 유행할 수 있는 사람
소유의 존재[욕유(慾有)]를 완전히 부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6.
yodha taṇhaṃ pahantvāna, anāgāro paribbaje.
taṇhābhavaparikkhīṇ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여기서 애(愛)를 버린 뒤 집 없이 유행할 수 있는 사람
갈애[애(愛)]와 존재[유(有)]가 완전히 부서진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7.
hitvā mānusakaṃ yogaṃ, dibbaṃ yogaṃ upaccagā.
sabbayogavisaṃyut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사람의 속박을 부수고 하늘의 속박을 극복한 사람
모든 속박에서 풀려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8.
hitvā ratiñca aratiñca, sītibhūtaṃ nirūpadhiṃ.
sabbalokābhibhuṃ vīr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유쾌와 불쾌를 부수어 차가워지고 집착이 없는 사람
세상을 완전히 정복한 영웅,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19.
cutiṃ yo vedi sattānaṃ, upapattiñca sabbaso.
asattaṃ sugataṃ buddh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중생들의 죽음과 다시 태어남을 완전히 아는 사람
붙잡음이 없는 선서(善逝)이자 부처,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20.
yassa gatiṃ na jānanti, devā gandhabbamānusā.
khīṇāsavaṃ arahant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신과 간답바와 사람들이 간 곳을 모르는 사람
번뇌 다한 아라한,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21.
yassa pure ca pacchā ca, majjhe ca natthi kiñcanaṃ.
akiñcanaṃ anādān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이전에도 나중에도 중간에도 아무 것도 없는 사람
아무 것도 없고 집착에서 떠난 사람,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22.
usabhaṃ pavaraṃ vīraṃ, mahesiṃ vijitāvinaṃ.
anejaṃ nhātakaṃ buddh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황소이며, 가장 뛰어난 영웅, 위대한 정복자
갈망하지 않음으로 목욕한 부처,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423.
pubbenivāsaṃ yo vedi, saggāpāyañca passati,
atho jātikkhayaṃ patto, abhiññāvosito muni.
sabbavositavosānaṃ, tamahaṃ brūmi brāhmaṇaṃ.
전생을 알고 천상과 지옥을 보는 사람
그래서 태어남의 부서짐을 성취한 사람, 실다운 지혜로 완성한 성자
모든 것을 완성하여 그친 그를 나는 바라문이라 부른다.
brāhmaṇavaggo chabbīsatimo niṭṭhito.
(ettāvatā sabbapaṭhame yamakavagge cuddasa vatthūni, appamādavagge nava, cittavagge nava, pupphavagge dvādasa, bālavagge pannarasa, paṇḍitavagge ekādasa, arahantavagge dasa, sahassavagge cuddasa, pāpavagge dvādasa, daṇḍavagge ekādasa, jarāvagge nava, attavagge dasa, lokavagge ekādasa, buddhavagge nava, sukhavagge aṭṭha, piyavagge nava, kodhavagge aṭṭha, malavagge dvādasa, dhammaṭṭhavagge dasa, maggavagge dvādasa, pakiṇṇakavagge nava, nirayavagge nava, nāgavagge aṭṭha, taṇhāvagge dvādasa, bhikkhuvagge dvādasa, brāhmaṇavagge cattālīsāti pañcādhikāni tīṇi vatthusatāni.
satevīsacatussatā, catusaccavibhāvinā.
satattayañca vatthūnaṃ, pañcādhikaṃ samuṭṭhitāti).
dhammapade vaggānamuddānaṃ —
yamakappamādo cittaṃ, pupphaṃ bālena paṇḍito.
arahanto sahassañca, pāpaṃ daṇḍena te dasa.
jarā attā ca loko ca, buddho sukhaṃ piyena ca.
kodho malañca dhammaṭṭho, maggavaggena vīsati.
pakiṇṇaṃ nirayo nāgo, taṇhā bhikkhu ca brāhmaṇo.
ete chabbīsati vaggā, desitādiccabandhunā.
gāthānamuddānaṃ —
yamake vīsati gāthā, appamādamhi dvādasa.
ekādasa cittavagge, pupphavaggamhi soḷasa.
bāle ca soḷasa gāthā, paṇḍitamhi catuddasa.
arahante dasa gāthā, sahasse honti soḷasa.
terasa pāpavaggamhi, daṇḍamhi dasa satta ca.
ekādasa jarā vagge, attavaggamhi tā dasa.
dvādasa lokavaggamhi, buddhavaggamhi ṭhārasa.
sukhe ca piyavagge ca, gāthāyo honti dvādasa.
cuddasa kodhavaggamhi, malavaggekavīsati.
sattarasa ca dhammaṭṭhe, maggavagge sattarasa.
pakiṇṇe soḷasa gāthā, niraye nāge ca cuddasa.
chabbīsa taṇhāvaggamhi, tevīsa bhikkhuvaggikā.
ekatālīsagāthāyo, brāhmaṇe vaggamuttame.
gāthāsatāni cattāri, tevīsa ca punāpare.
dhammapade nipātamhi, desitādiccabandhunāti.
dhammapadapāḷi niṭṭhitā.
법구경 완역을 수희찬탄합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아빈뇨 합장 _()_